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 ‘중간’ 유지(12.7.수.정례브리핑)
  • 작성일2022-12-07
  • 최종수정일2022-12-08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중간’유지


- 마스크 착용의무 조정 검토 계획 발표 및 건강취약계층 동절기 추가접종 권고 -




- 주요 내용 -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53,015명(전주 대비 1.8%↓)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와 주간 일평균 사망자는 전주와 유사

 ○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중간’으로 유지

 ○ 주간(11.20.~11.26.)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 13.29%로 전주(12.10%) 대비 증가


□ 마스크 착용 감염예방 효과 및 착용의무 조정 관련 검토 계획

 ○ 마스크 착용은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는 기본적인 조치

 ○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에 관한 향후 주요 일정 안내 


□ 코로나19 예방접종의 재감염 예방 효과 분석

 ○ 코로나19 예방 접종 횟수가 증가할수록 재감염되거나, 재감염 후 사망할 가능성 감소


□ 건강취약계층 동절기 추가접종 적극 권고

 ○ 재감염이 증가하고 있으며, 60세 이상은 위중증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위험 높음

 ○ 건강취약계층*은 반드시 동절기 추가접종 참여 필요

   * 60세 이상, 면역저하자, 감염취약시설 입원·입소·이용·종사자 등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11. 27.∼12. 3.)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11월 5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467명, 일평균 사망자는 4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0,669명이라고 밝혔다.



구분

11.27

11.28

11.29

11.30

12.1

12.2

12.3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481

491

491

472

430

460

442

467

-

사망자*

39

44

41

52

62

53

48

48

339

입원

140

124

210

231

205

181

163

179

1,254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최근 1주간 연령대별 사망자 비중은 80세 이상이 65.5%, 70대가 15.9%, 60대가 13.3%로, 50대 이하 5.3%와 비교하면 고연령층 사망자가 대다수였다.


< 성별·연령별 주간 사망 및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현황 >

구 분

신규 사망

(주간 누적)

(%)

사망누계

(%)

치명률(%)

재원중

위중증

구성비(%)

339

(100.0)

30,669

(100.0)

0.11

467

(100.0)

성별

남성

170

(50.1)

14,984

(48.9)

0.12

252

(54.1)

여성

169

(49.9)

15,685

(51.1)

0.11

214

(45.9)

연령

80세 이상

222

(65.5)

18,208

(59.4)

2.07

228

(48.8)

70-79

54

(15.9)

6,991

(22.8)

0.48

123

(26.4)

60-69

45

(13.3)

3,529

(11.5)

0.12

63

(13.5)

50-59

10

(2.9)

1,259

(4.1)

0.04

28

(6.0)

40-49

5

(1.5)

414

(1.3)

0.01

12

(2.6)

30-39

2

(0.6)

141

(0.5)

0.01

4

(0.8)

20-29

1

(0.3)

75

(0.2)

0.01

2

(0.4)

10-19

0

(0.0)

18

(0.1)

0.01

1

(0.3)

0-9

0

(0.0)

34

(0.1)

0.01

6

(1.2)

* 치명률(%) = 사망자수 / 확진자수 × 100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주간 국내 발생 확진자 중 수도권은 일평균 28,338명(53.5%), 비수도권은 일평균 24,614명(46.5%)이 발생하였다. 



 ○ 11월 5주간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70,658명, 해외유입 사례는 445명이 확인되어, 주간 신규 확진자는 총 371,103명으로 일평균 53,015명 발생,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7,261,526명(누적발생률 52.8%, 누적치명률0.11%, 해외유입 71,620명)이다.






 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11. 27.∼12. 3.)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11월 5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6주 연속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중간’으로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 신규 확진자, 60세 이상 확진자, 입원환자,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가 모두 감소하고 있으나 중환자 병상가동률(전국 기준) 30%대가 유지되고 중환자실 의료역량 대비 60세 이상 발생 비율이 증가하는 상황을 고려하였다.



<11월 5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8

9

10

11

5

(8.28~)

1

(9.4~)

2

(9.11~)

3

(9.18~)

4

(9.25~)

1

(10.2~)

2

(10.9~)

3

(10.16~)

4

(10.23~)

1

(10.30~)

2

(11.6~)

3

(11.13~)

4

(11.20~)

5

(11.27~)

전국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수도권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비수도권

높음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위중증·사망자 현황]


□ 지난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1.5% 증가하여 467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0.3% 감소하여 일평균 48명이다.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 (11월 2주) 349명→ (11월 3주) 399명→ (11월 4주) 460명→ (11월 5주) 467명

   **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 : (11월 2주) 38명→ (11월 3주) 53명→ (11월 4주) 49명→ (11월 5주) 48명



<그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일평균 사망자 발생 현황(’22.12.3. 0시 기준)


 ○  11월 5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14명(88.7%),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일평균 46명(95.8%)이었다.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442명(94.6%), 일평균 사망자 중 50세 이상 47명(97.9%)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22.12.3. 0시 기준)




 ○  11월 3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17%, 치명률은 0.08%이었다. 







 ○  ’22년 12월 3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59.4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863.8명(치명률 2.07%)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188.2명(치명률 0.48%), 60대는 49.3명(치명률 0.12%)이었다.




[확진자 및 발생추이 ]


□  11월 5주(11.27.~12.3.) 주간 신규 확진자는 371,103명으로 전주 대비 1.8% 감소하였다.


 ○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53,015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1.00으로 7주 연속 1 이상을 유지하였다.


   * 주간 누적: (11월2주) 34.4만 명→ (11월3주) 36.7만 명→ (11월4주) 37.7만 명→ (11월5주) 37.1만 명

  ** 일 평균: (11월2주) 49,173명→ (11월3주) 52,429명→ (11월4주) 53,966명→ (11월5주) 53,015명




<그림> 최근 8주간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22.10.9.~12.3.)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102

(10.9~10.15.)

103

(10.16~10.22.)

104

(10.23~10.29.)

111

(10.30~11.5.)

112

(11.6.~11.12.)

113

(11.13.~11.19.)

114

(11.20.~11.26.)

115

(11.27.~12.3.)

확진자수()

145,937

172,186

233,280

297,294

344,210

367,004

377,765

371,103

일 평균 확진자()

20,848

24,598

33,326

42,471

49,173

52,429

53,966

53,015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40.4

47.6

64.5

82.2

95.2

101.5

104.5

102.7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0.9

1.2

1.4

1.3

1.2

1.1

1.0

1.0

감염재생산지수(Rt)

0.89

1.09

1.17

1.21

1.10

1.10

1.01

1.00





 ○ (고발생군) 60세 이상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이 감소하였으며 10-19세 연령대에서 증가, 그 외 연령대는 전주와 유사한 수준이다.


  - 발생률은 10-19세(131.6명), 80세이상(121.3명), 30-39세(114.3명) 순이며, 학령기, 80세이상의 고령층 및 젊은 연령층에서 높았다.


  - 60세 이상 확진자의 규모와 비중 모두 전주 대비 감소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명) :  (11월2주) 88,224→  (11월3주) 96,028→  (11월4주) 95,720→  (11월5주) 90,329

    ** 60세 이상 비율(%): (11월2주) 25.6→ (11월3주) 26.2→ (11월4주) 25.3→ (11월5주) 24.3


  - 11월 4주 확진자 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비율*은 4.2%(15,899명/374,647명)로 전주 대비 0.2%p 감소하였으며, 감염취약시설 유형별 발생 현황**은 요양병원 38.3%(6,084명/15,899명), 요양시설 35.8%(5,690명/15,899명), 주야간보호센터 13.4%(2,137명/15,899명) 순이었다.


  * 전체 확진자중 감염 취약시설 구성원 비율 (%): (11월1주) 4.1% →  (11월2주) 4.4% →  (11월3주) 4.4%→  (11월4주) 4.2%

    (해당 사례는 코로나19 확진자 조사서 전체 등록자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예’라고 응답한 건)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113

114

115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367,004

(100.0)

101.5

377,765

(100.0)

104.5

371,103

(100.0)

102.7

27,261,526

(100.0)

52,793

성별

남성

161,010

(43.9)

89.3

166,588

(44.1)

92.4

164,516

(44.3)

91.3

12,685,345

(46.5)

49,270

여성

205,994

(56.1)

113.7

211,177

(55.9)

116.5

206,587

(55.7)

114.0

14,576,181

(53.5)

56,296

연령별

0-9

23,493

(6.4)

89.3

23,977

(6.3)

91.1

23,934

(6.4)

90.9

2,909,360

(10.7)

77,369

10-19

39,426

(10.7)

119.6

40,511

(10.7)

122.9

43,386

(11.7)

131.6

3,456,291

(12.7)

73,393

20-29

47,892

(13.0)

102.8

51,565

(13.7)

110.7

50,795

(13.7)

109.0

3,991,332

(14.6)

59,967

30-39

51,739

(14.1)

109.9

54,849

(14.5)

116.5

53,806

(14.5)

114.3

3,969,008

(14.6)

59,032

40-49

54,925

(15.0)

96.1

56,239

(14.9)

98.4

55,587

(15.0)

97.2

4,151,940

(15.2)

50,839

50-59

53,501

(14.6)

88.5

54,904

(14.5)

90.8

53,266

(14.4)

88.1

3,509,043

(12.9)

40,636

60-69

48,510

(13.2)

96.7

49,193

(13.0)

98.1

46,252

(12.5)

92.2

2,919,075

(10.7)

40,742

70-79

28,670

(7.8)

110.2

27,571

(7.3)

106.0

26,185

(7.1)

100.7

1,473,773

(5.4)

39,670

80세이상

18,848

(5.1)

127.7

18,956

(5.0)

128.5

17,892

(4.8)

121.3

881,704

(3.2)

41,827




[재감염 추정사례]


□  11월 4주(11.20.~11.26.)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13.29%로 전주(12.10%) 대비 증가했다. 예방접종은 재감염 및 중증진행을 낮추기 때문에, 권장접종 시기에 맞춰 동절기 접종 실시를 적극 권고하고 있다.

   *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구성비(%):(11월1주) 10.36%, (11월2주) 10.68%, (11월3주) 12.10%, (11월4주) 13.29%



 ○ (누적발생) ’22.11.27.0시 기준, 26,015,691명 중 재감염 추정사례 (2회이상) 761,807명, 누적구성비 2.92% 확인되었다.

   * (11월1주) 298,605명(2.52%), (11월2주) 354,979명(2.63%), (11월3주) 363,444명(2.76%), (11월4주) 377,709명(2.92%)



<그림> 주차별 확진자 수 및 2회감염 추정 비율






[예방접종 효과분석]


□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4.2% 감소되므로, 예방접종은  고령층·기저질환자에게 3차접종 완료는 특히 중요하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17.3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1배가 높았다.


   *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4.2%,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67.4% 낮음




<그림>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대별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22.11.27. 0시 기준)





 ○ BA.5 우세화 시기인 10월 1주차 기준, ‘미접종군’의 사망률은 ‘2차 접종군’에 비해 1.8배, ‘3차접종군’에 비해 5.0배, ‘4차 접종군’에 비해 5.4배 높았다.


  -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0.65명(1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0.13명(1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12명(1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 10월 1주 한주동안 분석대상 중 ‘미접종군’. ‘2~4차접종 완료군’에 해당되는 대상자를 확진 이후 28일 모니터링한 결과 코로나19로 사망한 비율임




[병상가동률]


□ 전국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4주 연속 30%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 주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11.4주 → 11.5주): (전국) 32.0% → 31.7%, (수도권) 30.2%, → 29.8%, (비수도권) 36.6% → 36.3%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11.4주 → 11.5주): (전국) 44.2% → 39.2%, (수도권) 45.1% → 39.3%, (비수도권) 41.8% → 38.9%



<그림> 중환자 병상가동률 및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변이 바이러스]


 ○ 현재 검출되는 변이의 78.0%는 BA.5의 세부계통들로, 그 중 BA.5*는 67.8%(-9.7%p), BQ.1과 BQ.1.1은 각각 1.4%(+0.2%p)와 6.0%(+2.2%p)로 확인되며, BA.2.75의 세부계통인 BN.1**이 13.2%(+5.5%)로 확인되었다.  

   * BF.7, BQ.1, BQ.1.1을 제외한 BA.5의 모든 세부계통 

 ** (BN.1) BA.2.75의 하위변이(BA.2.75.5.1)로 9월에 재명명된 오미크론 변이의 하나임


< 국내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12.3. 기준) >


구분

분석주차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5 세부계통

그 외 세부계통

BA.5

BF.7

BQ.1

BQ.1.1

소계

BA.2.75

BN.1

기타

전체

112

81.1

2.7

2.2

2.4

88.4

2.0

4.9

4.7

113

79.5

1.7

1.5

3.1

85.8

1.8

7.6

4.8

114

77.5

2.6

1.2

3.8

85.1

3.9

7.7

3.3

115

67.8

2.8

1.4

6.0

78.0

3.7

13.2

5.1

국내감염

112

88.2

2.3

1.0

1.5

93.0

1.5

3.1

2.4

113

85.0

1.5

0.9

1.9

89.3

1.5

5.7

3.5

114

80.6

2.6

0.8

2.9

86.9

3.6

7.3

2.2

115

73.9

2.8

0.6

3.7

81.0

3.8

11.6

3.6

해외유입

112

43.1

5.2

8.6

6.9

63.8

5.2

14.2

16.8

113

47.4

3.3

5.2

9.9

65.8

3.7

18.3

12.2

114

53.7

2.4

4.3

11.0

71.4

6.7

11.0

10.9

115

40.3

2.6

4.9

16.4

64.2

3.3

20.1

12.4



   * BQ.1은 BQ.1.1을 제외한 BQ.1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BA.2.75는 BN.1을 제외한 BA.2.75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기타는 BA.5 및 BA.2.75 세부계통을 제외한 모든 세부계통 포함 




[먹는 치료제 처방률]


□ 11월 5주차(11.27~12.3) 60세 이상 환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평균 처방률은 33.9%로 지난주(32.4%) 대비 1.5%p 증가하였다. 


<그림> 60세 이상 먹는치료제 처방률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 첨부 파일 참고






 3. 코로나19 병상 및 재택치료 등 현황 



[병상]


□ 12월 6일(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6,287병상이다.


 ○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31.7%, 준-중증병상 38.5.%, 중등증병상 21.1%이다.



< 12.6.(화) 17시 기준 중증도별 병상 현황 >


(단위 : )

구분

(, %)

위중증(危重症)

준중증(-重症)

중등증(中等症)병상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중환자병상

감염병 전담병원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전국

1,626

516

1,110

2,709

1,042

1,667

1,952

412

1,540

(+6)

(+10)

(-4)

(+4)

(+9)

(-5)

(+0)

(+13)

(-13)

수도권

1,144

355

789

1,919

743

1176

1,025

178

847

(+6)

(+12)

(-6)

(+4)

(-1)

(+5)

(+0)

(+18)

(-18)

서울

214

97

117